[Stock] 경제,투자,주식/비트코인

4월 실업률 지표 이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방향은?

onlyworld 2025. 4. 18. 10:56
728x90
반응형

 

 

 

 

 1. 실업률 지표가 시장에 주는 신호

 

실업률 상승(높음)

 

- 금리 인하 기대감 → 주식·채권엔 호재

- 하지만 "경기 침체 신호"로 해석되면
→ 크립토 시장엔 위험회피 심리 확산
→ 자금 유출, 디지털 자산 약세 우려

 

실업률 하락(낮음)

 

- 고용 시장 견조 → 연준의 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

- 유동성 회복 지연 → 크립토엔 불리할 수 있음

 

→ 즉, 실업률은 양날의 검
낮아도 높아도, "시장 해석이 핵심"

 

 

 


 

 

2. 이번 발표 (2024.04.17 기준) 요약

 

실업률: 예상보다 다소 상승

시장은 "연준의 금리 인하가 가까워졌다"로 해석
→ 단기적으로는 위험 자산(주식·코인) 모두 반등 시도

하지만...

 

크립토는 상승 탄력 약함
→ 실업률 상승 = 경기 둔화 신호
→ 크립토 투자심리는 오히려 위축될 수 있음

 

 

 


 

 

 

3. 이더리움·비트코인 방향성 요약


 

이더리움 중립 to 약세 ETF 승인 기대 반영 완료, 유동성 둔화 시 타격 우려
비트코인 강보합 to 강세 디지털 금 테마 지속 + 기관 수요 유지

 

◆ ETF 재료는 이미 선반영된 상태
→ 지표가 호재라도 추가 반응은 제한적일 수 있음

 

 


 

 

4. 비트코인 도미넌스 60% 돌파 시, 전략은?

 

- 도미넌스 60% 이상 = 시장이 보수 모드 진입 중

- 알트코인 자금 유입은 둔화되고, 자금 대부분이 BTC에 집중됨

(근데 한정된 수량에, 추가유입이 아닐가능성도 있음)

 

이럴 때는 이렇게 하자

 

- ETH, 기타 알트 비중 현명하게, 저점매수도 노려도 되지만, 분할로!

- BTC 중심 포지션 강화

- 소형 알트(시총 낮은 코인)는 일시적으로 피하기

 

(!) 단, 도미넌스가 과도하게 높아졌을 경우
알트 자금 순환이 시작될 수 있는 초기 신호가 되기도 함

 

 

 


 

 

결론!!!!!

 

실업률 지표 하나만으로 방향성 단정 짓긴 어렵지만,
지금처럼 금리 인하 기대와 경기 둔화 사이에 시장이 흔들리는 시기엔
자산별 민감도에 따른 전략적 분산이 중요하다.

 

비트코인은 견조한 흐름을 유지 중이지만,
이더리움과 알트코인은 눌림 구간에 진입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 지금은 "몰빵이 아닌, 전략적 분산 타이밍"임을 기억하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