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ck] 경제,투자,주식/비트코인
이더리움, 지금은 저평가일까? 비트·솔라나 대비 저조한 상승률의 이유와 전망
onlyworld
2025. 4. 20. 14:49
728x90
반응형
1. 현재 차트 상황 요약 (2025.04.20 기준)
- 이더리움: 약 1,600 USDT, 원화 기준 약 220만 원대
- 여전히 4시간 / 일봉 기준 역배열 유지 중
- 20일선, 60일선, 120일선 전부 아래에서 눌리는 상태
→ 단기 기술적 반등은 있었으나, 추세 전환은 아직 미완
2. 역배열 탈출 기준: 이더리움은 언제 안정화될까?
- 1차 기준선: 1,750 USDT 돌파 (240만 원)
→ 단기 MA(이동평균) 돌파 및 추세 반전 초기 시도 - 2차 안정선: 1,950 USDT 돌파 후 안착
→ 주봉 기준 중기 이동평균선까지 회복 → 중기 상승 시그널
📌 현재 상태:
- 저점은 다졌지만, 상승 추세 전환은 아직
- 약한 매수세만 유입되고 있어 → “기회 구간”이자 “보수 구간”
3. 거시경제 관점에서의 흐름
- 미국 실업률 증가 → 금리 인하 기대는 높음
- 하지만 경기 침체 가능성과 맞물리며 자산시장 전체가 조심스러운 분위기
- 크립토 시장도 자금 유입보다 기다림과 관망세 우세
→ 이더리움처럼 자금 유입이 큰 자산은 추세가 늦게 온다
4. 비트코인·솔라나 대비 상승률 낮은 이유
자산YTD 상승률주요 이유
비트코인 | 약 +120% | ETF 승인 → 기관 자금 폭발적 유입 |
솔라나 | 약 +200% | 밈코인/게임/디파이 등 실사용 확산, 펌핑 구조 |
이더리움 | 약 +30% | ETF 승인 이슈 선반영 + 수요 대비 거래량 부족 |
왜 ETH는 덜 올랐을까?
- ETF 승인 기대감이 이미 2023~24년에 선반영됨
- 스테이킹 물량이 잠겨 있어, 거래량이 타 자산 대비 적음
- 차트상 역배열 구간이 너무 길어, 기술적 매수세가 약함
5. 그렇다면… 이더리움은 믿을 수 있을까?
✅ YES, 이유는 명확하다
- DeFi / NFT / AI / RWA 등 실사용 대부분 ETH 위에서 작동
- 가장 검증된 L1이며, 솔라나·아발란체 등은 ETH의 구조를 모방한 존재
- 공급 감소 구조 (소각 + 스테이킹) → 장기적으로 가치 희소성 보장
- 기관투자자들이 비트코인 다음으로 가장 많이 편입하려는 자산
🔚 결론: 이더리움은 ‘지금은 느리지만, 방향은 분명하다’
- 차트는 아직 기술적 약세 구간, 하지만
- 펀더멘털은 모든 L1 중 가장 견고하며
- 거시적 환경에서도 장기 투자 적합성 1순위
지금의 이더리움은 "상승을 기다리는 숨 고르기"일 수 있다.
728x90